이동통신과 위성통신에서 사용되는 주요 무선 다원 접속 방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다원 접속 방식
FDMA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 가용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채널로 분할하여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 가장 간단하고 오래된 방식으로, 각 사용자가 서로 다른 주파수를 이용하여 접속합니다
TDMA (시분할 다중 접속)
- 시간을 여러 슬롯으로 나누어 각 사용자에게 할당하는 방식입니다
- 일반적으로 FDMA와 함께 사용되어, 주파수로 구분한 후 동일 주파수 대역 내에서 시간으로 나누어 다중 접속합니다
CDMA (코드 분할 다중 접속)
- 각 사용자에게 고유한 코드를 할당하여 구분하는 방식입니다
- 간섭에 강하고 용량 증가가 가능하지만, 넓은 대역폭을 사용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OF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 OFDM 기술을 기반으로 하여 여러 사용자가 부반송파의 집합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 유연한 자원 할당이 가능하며, 사용자의 요구 전송률에 따라 동적으로 부채널을 할당할 수 있습니다.
특징 및 비교
- FDMA는 구현이 간단하지만 주파수 이용 효율이 낮을 수 있습니다.
- TDMA는 시간 동기화가 필요하며, 디지털 신호 전송에 적합합니다.
- CDMA는 간섭에 강하고 보안성이 높지만, 복잡한 신호 처리가 필요합니다.
- OFDMA는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에 강하고 유연한 자원 할당이 가능하지만, 시스템 복잡도가 높습니다.
이러한 다원 접속 방식들은 이동통신과 위성통신 시스템의 특성과 요구사항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때로는 여러 방식을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