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NS 서버의 구성 및 작동원리

2024. 11. 9. 21:42·자격증/정보보안 기사

 

 

DNS 서버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주는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으로 구성됩니다. 이 시스템은 여러 계층으로 이루어진 서버들이 협력하여 동작하며, DNS 서버의 주요 구성 요소와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1. DNS 서버의 주요 구성 요소

  1. 루트 DNS 서버 (Root DNS Server)
    • 루트 DNS 서버는 가장 상위에 위치하며, ".com", ".net", ".org" 등 최상위 도메인(TLD)의 위치 정보를 제공합니다.
    • 전 세계에 13개의 주요 루트 서버가 있으며, 각 서버는 복제 서버를 통해 다양한 위치에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 TLD DNS 서버 (Top-Level Domain DNS Server)
    • TLD 서버는 루트 서버로부터 요청을 받은 후, 특정 TLD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com” 도메인의 경우 “google.com”을 담당하는 TLD 서버는 .com 도메인의 IP 주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3. 권한 있는 DNS 서버 (Authoritative DNS Server)
    • 권한 있는 DNS 서버는 특정 도메인에 대한 최종 정보를 보유하고 있는 서버입니다. 예를 들어 "google.com"의 권한 있는 DNS 서버는 최종 IP 주소 정보를 제공합니다.
  4. 재귀 DNS 서버 (Recursive DNS Server)
    • 재귀 DNS 서버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DNS 서버로, 사용자의 요청을 받아서 필요한 정보를 찾기 위해 여러 DNS 서버를 차례로 조회합니다.
    • 캐싱 기능이 있어 자주 요청되는 도메인의 IP 주소를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하여 빠르게 응답할 수 있습니다.

2. DNS 서버의 작동 원리

DNS 서버의 작동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도메인 이름 요청
    •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 “www.example.com”을 입력하면, 브라우저는 운영체제의 DNS 클라이언트를 통해 재귀 DNS 서버로 “example.com의 IP 주소를 알고 싶습니다”라고 요청을 보냅니다.
  2. 캐시 확인
    • 재귀 DNS 서버는 캐시에 "example.com"에 대한 IP 주소가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캐시에 정보가 있다면 바로 IP 주소를 반환합니다.
  3. 루트 서버 조회
    • 캐시에서 찾지 못한 경우, 재귀 DNS 서버는 루트 DNS 서버에 “example.com의 IP 주소를 찾고 싶습니다”라고 요청을 보냅니다.
    • 루트 DNS 서버는 "com" TLD 서버의 주소를 반환해 줍니다.
  4. TLD 서버 조회
    • 재귀 DNS 서버는 TLD 서버로부터 example.com을 담당하는 권한 있는 DNS 서버의 위치를 얻습니다.
  5. 권한 있는 DNS 서버 조회
    • 재귀 DNS 서버는 최종적으로 권한 있는 DNS 서버에 요청하여 "example.com"의 정확한 IP 주소를 얻고, 이 정보를 브라우저에 반환합니다.
  6. 캐싱 및 연결
    • 재귀 DNS 서버는 얻은 IP 주소를 일정 시간 동안 캐시에 저장하고, 브라우저는 이 IP 주소를 사용해 example.com 서버에 연결합니다.

3. DNS 서버 작동 방식의 주요 개념

  • 재귀 요청: 재귀 DNS 서버가 최종 IP 주소를 찾을 때까지 여러 DNS 서버에 차례로 요청을 보내는 과정입니다.
  • 권한 있는 응답: 권한 있는 DNS 서버가 도메인 이름에 대한 최종 IP 주소를 제공하는 응답입니다.
  • 캐싱: 재귀 DNS 서버가 이전에 조회한 정보를 일정 시간 동안 저장하여, 이후 동일한 요청에 대해 더 빠른 응답을 제공합니다.

이처럼 DNS 서버는 분산된 계층 구조와 캐싱 메커니즘을 통해 빠르고 효율적으로 웹사이트의 IP 주소를 찾아주고, 사용자가 도메인 이름만 입력하면 쉽게 웹사이트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합니다.

 

 

 

728x90
저작자표시 비영리 동일조건 (새창열림)
'자격증/정보보안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ARP Spoofing과 ARP Redirect의 차이
  • TEMPEST(템페스트)?
  • 쉘에서 시간대 변경
  • WAP(Web Application Proxy)와 WAF(Web Application Firewall)의 차이점
재성
재성
늦게 철든 아재.. 늦은 공부는 힘드네요
  • 재성
    자격증 취득 / 박재성
    재성
  • 전체
    오늘
    어제
    • 분류 전체보기 (69)
      • 자격증 (66)
        • 개인정보관리사 CPPG (4)
        • 정보처리 기사 (1)
        • 정보통신 기사 (3)
        • 정보보안 기사 (30)
        • SQL개발자 (1)
        • SW자산관리사 (7)
        • 네트워크관리사 (10)
        • 지능형홈관리사 (10)
      • 소망 목록 (1)
        • 코딩 - 리액트 (1)
      • 발자취 (2)
  • 공지사항

    • Who is 박재성?
  • 블로그 메뉴

    • 🏠 블로그 홈
    • 💾 취합 자료실
    • 🔍 태그
    • 📒 방명록
    • 🗝️ 관리
    • ✏️ 글 쓰기
  • 인기 글

  • hELLO· Designed By정상우.v4.10.3

재성
DNS 서버의 구성 및 작동원리
상단으로

티스토리툴바